
원활한 복지사업 운영을 위한 행정 시스템 개발 및 업무 지원
- 1) 복지사업 지원 : 행정적 업무 지원, 예산 운영 지원
- 2) 운영위원회 : 기관의 사업 질적 향상 및 공공성 투명성 증대를 위한
분기별 운영위원회 진행
- 3) 사업평가회 : 사업에 필요한 정보 수집 및 분석, 사업 공유 및 방향
수립을 위한 분기, 반기, 연 단위 평가회 진행
- 4) 서무 및 안내 : 문서 수발 및 관리 업무, 내방자 이용자의 안내 및 상담

직원복지 증진을 통한 근로만족도 향상 도모
- 1) 인사관리 : 신규직원의 모집 및 선발, 인사위원회 개최, 운영규정 및 지침 수정·보완, 직원근태관리, 고충처리위원회 진행
- 2) 직원복리후생 : 정확하고 신속한 제보험 업무 수행, 퇴직금 관리, 직원후생복지
- 3) 외부인력관리 : 사회복무요원 관리

복지시설 관리와 지역주민 편의 제공
- 1) 시설관리 : 시설 안전 관리(정기점검 및 유지보수), 비품 관리 및 대여,
소방교육
- 2) 시설대여 : 지역주민 및 지역단체 시설대여
- 3) 기능보강 : 복지사업 운영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 확보, 다양한 사업 개발
및 활성화, 쾌적한 환경정비 및 제공
- 4) 주민응대 : 복지관 방문객 응대, 민원 접수 및 주민응대, voc관리

사회복지 서비스 효과 증진을 위해 사회복지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태도 및 실천기술 습득을 통한 종사자 역량강화 지원
- 1) 독서경영 TFT 운영 : 직원 개인의 역량강화 위한 독서경영 TFT운영
(매월 1인 1권)
- 2) 전문성 강화교육 : 연간 직원교육 계획 수립 및 지원, 자기성장계획 수립
및 지원(사회복지 전문교육 및 세미나 참석 등)
- 3) 신입직원교육 : 기관운영 및 사업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교육
(법인소개, 사업부서별 오리엔테이션, 장기요양센터 실습 등)
- 4) 법정교육 : 성희롱예방, 소방 및 화재, 이용자정보관리교육 등
- 5) 직원연수 : 기관의 비전 공유, 팀원 소통을 위한 모임, 업무의욕 향상을
위한 사기진작프로그램 운영

사회복지 실천가 양성을 위한 사회복지학부생 현장 실습 교육
- 1) 사회복지 실습지도 :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가치관/철학 배양,
태도함양, 지식습득 기술훈련 기회 제공

지역주민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파악하여 복지사업 운영의 방향 설정
- 1) 욕구조사보고서 발간 : 복지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
- 2) 연구보고서 발간 : 복지관 주요 사업 성과의 지역사회 확산을 위한
연구보고서 발간 및 활용

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복지관의 주요 소식 및 활동 홍보
- 1) 지역사회 홍보 : 소식지 ‘유쾌한사람들’ 분기별 발행 및 배포, 기관 대표
홍보물 제작 및 배포, 프로그램 참여 안내 및 대면 홍보
- 2) 언론 홍보 : 보도자료 배포 및 TV, 라디오, 신문 등 언론매체를 활용한
복지정보 제공
- 3) 온라인 홍보 : 온라인 공간에서 복지관 사업 및 복지 정보 제공